Static Routing Protocol 정적 라우팅(Static Routing)은 라우터에 직접 라우팅 경로를 수동으로 지정하는 방식으로, 경로가 변경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장점 구성이 간단하고, 구현이 쉽다. 라우터에서 처리하는 데이터양이 적다. 안정적이며, 구성 변경이 없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다. 단점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구성 관리가 어렵다. 라우팅 테이블의 크기가 커질 경우, 유지 보수에 어려움이 있다. 경로 변경 시 수동으로 변경해야한다. 경로 변경이 많은 네트워크에서는 불편함이 있다. Dynamic Routing Protocol Dynamic Routing Protocol(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환경이 동적으로 변할때, 이에 대응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자동으로 갱신하도록 도와주..
Routed Protcol Routed Protocol은 IP 주소를 사용하여 목적지까지 패킷을 라우팅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은 라우팅 결정을 수행하고 패킷이 다음 라우터로 전달되는 방법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Routed Protocol은 패킷이 네트워크를 통과할 때 패킷 헤더의 IP 주소를 기반으로 최적의 경로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라우터는 라우팅 테이블을 사용하여 다음 목적지로 패킷을 전달할 인터페이스를 결정한다. Routed Protocol은 흔히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사용하며, 다른 예로는 IPX, AppleTalk등이 있다. Routed Protocol은 대부분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며, 이를 사용하면 다양한 라우팅 프로토콜(RIP, OSPF, EIGRP 등)을 사용하여 ..
라우터(Router) 라우터(Router)는 여러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장비로, OSI 7 Layer 중 3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한다. 라우터는 패킷의 전송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며, 각각의 패킷은 IP 주소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라우터는 패킷을 받아서 패킷의 목적지 IP 주소를 이용하여 패킷이 전송되어야 할 다음 경로를 결정한다. 이를 라우팅(Routing)이라고 하며, 라우터는 패킷을 전송할 다음 경로를 결정한 후, 그 경로로 패킷을 전송한다. 라우터는 여러 개의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인터페이스는 서로 다른 IP 주소를 가지고 있다. 라우터는 패킷의 목적지 IP 주소를 보고, 패킷이 전송되어야 할 네트워크를 결정한다. 이후, 결정된 네트워크로 패킷을 ..
IP 주소의 클래스 IP 주소의 클래스는 IP 주소를 구성하는 비트의 수에 따라서 분류된다. 기본적으로 IP 주소는 32비트로 구성되며, 클래스 A, B, C, D, E로 분류된다. 따라서, IP 주소의 클래스에 따라서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의 비트 수가 달라지기 때문에, 호스트 수와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 크기가 달라진다. 이를 고려하여 IP 주소를 할당하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클래스 A Class A는 주소 첫 번째 비트가 0인 8비트 네트워크 ID와 24비트 호스트 ID로 이루어진 IP 주소 체계이다. 즉, Class A IP 주소는 첫 번재 바이트가 네트워크 ID이고, 나머지 3바이트가 호스트 ID이다. 이것은 매우 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데 적합하다. Class A IP 주..